본문 바로가기

Blender4

블렌더(Blender) 오브젝트 생성하는 방법 블렌더의 가장 기초인 오브젝트를 만드는 2 가지 방법에 대하여 설명드리겠습니다. 생성은 object 모드에서 진행합니다. (블렌더 시작시 기본 object 모드입니다) 1. Shift+A 단축키를 활용하여 기본 도형 Mesh/Curve/Surface 등을 만듭니다. 2. 상단의 Add 버튼을 누르면 단축키와 동일한 창이 뜨고 오브젝트 생성이 가능합니다. 생성된 오브젝트는 Delete 나 x 키를 이용하여 삭제할 수 있습니다. 오브젝트는 커서가 위치하는 곳을 중심으로 오브젝트가 생성되며 좌클릭을 할때마다 커서의 위치를 바꿀 수 있습니다. 커서의 위치를 원점으로 옮기고 싶은 경우, Shift+S를 사용하여 커서를 원점으로 올겨줄 수 있습니다. 생성한 큐브를 변환하는 방법은 이전 글에서 설명드렸습니다. 이동/.. 2022. 9. 6.
블렌더(Blender) 오브젝트 조작 및 Edit 모드 가장 쉽게 오브젝트를 이동시키는 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 이동: 오브젝트 좌클릭 선택 + G 키 = (자유로운) 이동 활성화 > 좌클릭: 이동 위치 확정 / 우클릭: 이동 취소 하지만 G 키를 활용한 자유로운 이동의 경우 원하지 않는 축으로의 이동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 그래서 자신이 원하는 축으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xyz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추가로 눌러주면 되는데요,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. 축 고정: G 키 > x or y or z 누르기 > 그 축으로만 이동하게 됨 여기에 더하여 한 축으로만 이동하는 것이 아닌, 한축을 제외하여 이동할 수도 있습니다. 축 제외: G 키 > shift+제외할 축 > 그 축을 제외한 평면에서 이동 ex) shift+z: xy 평면, shift+y:xz 평면, shift+.. 2022. 9. 5.
블렌더(Blender) 기초 UI 및 화면 제어 블렌더(Blender)를 처음 사용하시는 분들을 위해, 먼저 어떻게 창이 이루어져 있고 화면을 제어하는 지 설명드리겠습니다. 블렌더를 시작하면 위의 그림과 같은 페이지가 나타나는데요, 1. View port: 기본 object 들을 작업하는 공간입니다. 상단의 여러 탭을 누르면 각 작업을 하기 편하도록 인터페이스가 바뀝니다. 2. TIme line: 하단의 타임라인 창은 주로 에니메이션을 사용할 때 활용합니다. 3. Outliner: 우측 상단의 아웃라이너 창은 모든 오브젝트가 표시되는 layer입니다. 4. Property: 우측 하단의 프로퍼티 창에는 다양한 기능이 있는데요, 주로 Render, modifier, material을 사용합니다. * Tip. 뷰포트 창 개수 조절하기 - 뷰포트 창의 가장.. 2022. 9. 5.
블렌더(Blender) 기초 기능 blender의 기능은 크게 8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. 1. Modeling - 3차원 물체를 Mesh 형태로 표현함 (여러개의 선을 그물처럼 연결) - 여러가지 Tool이 있으며, 화면 왼쪽의 툴바에 아이콘으로 표시되어 있음(우측 그림 참고) - Tool로 변형한 Mesh를 modify기능으로 수정함 ex) skin modify로 선을 굵게 수정, array modify로 연속적인 물체 나열 가능 - UV unwarpping: 3D물체를 펼쳐서 2D데이터로 관리하는 기능 2. Rendering - 앞서 모델링한 3D 물체를 사진처럼 2D로 나타내는 것 - Geometry: 기하학적인 형태를 카메라로 잡음 - Lighting: 조명 4가지 (point/sun/spot/area)를 사용 - Shadin.. 2022. 9. 2.